강의노트 단독운전
강의노트
• 조회수 1124
• 댓글 0
• 작성 3년 전
• 수정 1년 전
발전기가 시스템의 부하를 공급할 때
발전기는 부하가 요구하는 유효, 무효전력을 공급해야한다.
발전기의 거버너(조속기: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한 장치)는 전력시스템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한다.
발전기의 계자전류는 전력시스템의 단자전압을 제어한다.
동기기의 단독운전
단독운전할 때에는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가 운전조건((1) 계자전류, (2)부하의 크기,(3) 원동기의 입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계자전류 변화
계자저항을 줄이면 계자전류가 증가하고 계자전류가 증가하면 자속이 증가한다.
자속이 증가하면 내부발생전압()도 증가한다. 가 증가하면 도 증가한다.
부하의 크기
부하가 변한다는 것은 발전기의 유효전력, 무효전력이 변한다는 것이다.
계자저항이 일정하면 계자전류가 일정하고 자속()이 일정하다. 내부전압()도 일정하다.
발전기의 제한조건을 유지하면서 부하()가 증가했을때의 부하별 페이저도를 그리면 다음 표와 같다.
| 지상역률 부하 | 단위역률 부하 | 진상역률 부하 |
|---|---|---|
![]() |
![]() |
![]() |
첫 글입니다.
마지막 글입니다.



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