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변환 z-역변환

강의노트 z-역변환

강의노트 • 조회수 90 • 댓글 0 • 작성 1개월 전 • 수정 3주 전  
  • z-역변환
  • z-inverse transform

z-역변환

Z[r(t)]로부터 r(t)를 구하는 방법은

  1. Z[r(t)]를 무한급수로 전개
  2. Z[r(t)]를 부분분수로 전개하고 변환표를 이용하여 역변환을 실시한다.

Z[r(t)]의 무한급수 전개

Z[r(t)]의 분자항을 분모항으로 나눠서 급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예) Z[r(t)]=z+1z2+2z+2=z1+z21+2z1+2z2 Z[r(t)] = \dfrac{z+1}{z^2+2z+2} = \dfrac{z^{-1}+z^{-2}}{1 +2z^{-1}+2z^{-2}}

R(z)=1z11z2+0z3+2z4+(1)\tag{1} R(z) = 1z^{-1} -1z^{-2} +0z^{-3} +2z^{-4}+ \cdots

식(1)의 분모를 분자로 나누어 얻은 결과이다. R(z)의 원하는 부분까지 계산될 수 있다.

R(z)=k=0r(kT)zk R(z) = \sum_{k =0 }^{\infty}r(kT)z^{-k}

이경우, R(0)=0,R(T)=1,R(2T)=1,R(3T)=0,R(4T)=2 R(0) = 0, R(T) = 1, R(2T) = -1, R(3T)=0, R(4T)=2 \cdots와 같이 y(kT)를 얻을 수 있다.

R(z)의 부분분수 전개

다음 식(2)의 역변화을 부분 분수법으로 전개한다.

R(z)=z+1(z1)(z2)(2)\tag{2} R(z) = \dfrac{z+1}{(z-1)(z-2)}

역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R(z)R(z)를 z로 나눈 후 부분 분수로 전개한다.

R(z)z=z+1z(z1)(z2) \dfrac{R(z)}{z} = \dfrac{z+1}{z(z-1)(z-2)}

이를 다음과 같이 부분 분수로 분해할 수 있다.

z+1z(z1)(z2)=Az+Bz1+Cz2 \dfrac{z+1}{z(z-1)(z-2)} = \dfrac{A}{z} + \dfrac{B}{z-1} + \dfrac{C}{z-2}

계수 A, B, C를 구하면

A=limz0z+1(z1)(z2)=12 A = \lim_{z \to 0} { \dfrac{z+1}{(z-1)(z-2)}} = \dfrac{1}{2}

B=limz1z+1z(z2)=2 B = \lim_{z \to 1} { \dfrac{z+1}{z(z-2)}} = -2

C=limz2z+1z(z1)=32 C = \lim_{z \to 2} { \dfrac{z+1}{z(z-1)}} = \dfrac{3}{2}

위에서 구한 계수들을 다시 원래의 식에 대입한다.

R(z)z=1/2z2z1+3/2z2 \dfrac{R(z)}{z} = \dfrac{1/2}{z} - \dfrac{2}{z-1} + \dfrac{3/2}{z-2}

양변에 z를 곱하여 R(z)R(z)를 구한다.

R(z)=122zz1+3z2(z2) R(z) = \dfrac{1}{2} - \dfrac{2z}{z-1} + \dfrac{3z}{2(z-2)}

이제 각 항에 대해 z-변환표를 사용하여 역변환을 적용한다.

Z1[zza]=aku[kT](3)\tag{3} Z^{-1} \left[ \dfrac{z}{z-a} \right] = a^{k}u[kT]

Z1[C]=Cδ[kT](4)\tag{4} Z^{-1} \left[ C \right] = C \delta [kT]

식(3), (4)을 이용하여 각 항을 역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Z1[12]=12δ[kT](5)\tag{5} Z^{-1} \left[ \dfrac{1}{2} \right] = \dfrac{1}{2} \delta [kT]

Z1[2zz1]=2(1)ku[kT](6)\tag{6} Z^{-1} \left[ \dfrac{2z}{z-1} \right] = 2 (1)^k u[kT]

Z1[3z2(z2)]=32(2)ku[kT](7)\tag{7} Z^{-1} \left[ \dfrac{3z}{2(z-2)} \right] = \dfrac{3}{2} (2)^k u[kT]

식(5), (6), (7)의 모든 항을 합치면 최종 역변환 값 R(kT)R(kT)은 다음과 같다.

r(kT)=12δ(kT)2u(kT)+322ku(kT)r(kT) = \dfrac{1}{2} \delta (kT) -2 u(kT) + \dfrac{3}{2} 2^{k}u(kT)

여기서 δ(kT)\delta(kT)k=0k=0일 때만 1의 값을 가지므로, k0k \ge 0인 모든 시퀀스를 포함하는 u(kT)u(kT)으로 식을 정리하면

r(kT)=(322k2)u(kT)r(kT) = \left( \dfrac{3}{2} 2^{k}-2 \right) u(kT)

k=0k=0일 때, r(0)=12121+321=0r(0) = \dfrac{1}{2} \cdot 1 - 2 \cdot 1 + \dfrac{3}{2} \cdot 1 = 0이므로 두 식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첫 글입니다.
마지막 글입니다.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