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마이크로전원의 제어
강의노트
• 조회수 240
• 댓글 0
• 작성 1년 전
• 수정 1년 전
- 마이크로그리드
마이크로 전원의 제어 구조
전력계통에 연계되어 운전할 수 있는 전원장치의 제어방식은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있다.
- 그리드 추종 (Grid-Following) 제어 방식
- 그리드 형성 (Grid-Forming) 제어 방식
마이크로 전원의 구조 및 제어
무한대 모선에 연결된 마이크로 전원의 모델
- 마이크로 전원에 채택되는 인버터는 단자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원 형이다.
- 전압원 인버터를 계통에 연결할 경우 계통도 전압원이므로 KVL 문제가 발생한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압원 인버터 출력 측에 계통 연계용 인덕터를 설치한다.
무한대 모선에 연결된 마이크로 전원의 등가 회로
- 전압원은 계통 혹은 다른 마이크로 전원일 수 있다.
- 전압원 인버터와 다른 전압원 사이의 임피던스는 에는 계통 연계형 인덕터와 선로의 임피던스가 포함되어 있다. 계통 연계형 인덕터의 리액턴스가 가장 크므로 로 가정할 수 있다.
계통 연계용 인덕터를 고려한 마이크로 전원과 무한대 모선의 연결 회로
- 전력시스템에서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
- 다음 회로와 같이 두 개의 마이크로 전원 , 사이 임피던스 가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복소전력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위 식으로부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무한대 모선에 연결된 마이크로 전원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위 식에서
- , 는 각각 두 개의 전원 사이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 , 는 각각 두 개의 전원 사이의 임피던스의 크기와 위상
- , , 는 각각 전압의 크기와 각 전압의 위상차
위 식에서 로 가정하면, 이며, , 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표현될 수 있다.
실제의 경우 로 운전되기 때문에, , 로 가정할 수 있고, 이로부터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유효 전력은 양단 전압의 위상각에 의해 제어되고, 무효 전력은 양단 전압의 차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 식은 다음에 언급할 드룹 제어의 근거가 된다.
마이크로 전원의 제어 방식
그리드 추종 제어 방식
- 그리드 추종 제어 방식은 마이크로그리드가 계통 연계 운전 방식으로 운전되고 있을 때 사용되는 마이크로 전원의 제어 방식이다
- 이 제어 방식은 상위 전력계통 없이 전력계통을 형성할 수 없는 제어 방식을 의미한다.
- 이 제어 방식은 상위 전력계통의 정격 기준 주파수 및 전압에 상대적인 주파수와 전압을 출력하여 정격 기준 주파수 및 전압이 형성되는데 전혀 관여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유효 및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방식이다.
- 이 제어 방식은 대부분 PI 제어 기반의 내부 전류 제어와 외부 유효 및 무효전력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드 형성 제어 방식
- 그리드 형성 제어 방식은 상위 전력계통에 상관없이 전력계통을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제어 방식을 의미한다.
- 이 제어 방식은 전원장치의 출력 한계와 주파수 및 전압 품질을 고려한 기준 주파수 및 전압을 제공하여 전력 계통 전체의 정격 기준 주파수 및 전압이 형성 되는데 관여하면서 유효 및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방식이다.
- 이 제어 방식은 마이크로그리드의 단독 운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어 방식으로 이 제어 방식을 채택하는 전원장치는 빠른 응답의 전력원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 이 제어 방식은 주파수 및 전압 드룹 개념의 제어 방식을 기반으로 유효 및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드룹(Droop) 개념의 제어 방식은 마이크로전원들 사이에서 전력 공급을 적절히 분배시켜주고, 마이크로그리드의 안정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전 글
다음 글
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