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분산전원과 신재생에너지

강의노트 • 조회수 263 • 댓글 0 • 작성 1년 전 • 수정 1년 전  
  •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시스템 연계
  • 분산 전원
  • 전력시스템 연계

개 요

  • 신재생 에너지 발전은 크게 독립형(Stand-alone)계통 연계형(Grid-Connected) 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독립형은 계통에 연결하기 힘든 산간오지나 이동형등의 경우에 사용하며, 계통 연계형에 비하여 제어가 간단하며, 규모가 작은 특징이 있다.
  •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의 대부분은 계통 연계형으로서 태양광 발전의 경우도 거의 90%가 이에 해당한다.
  • 이후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시스템은 계통 연계형으로 가정하며, 이의 전력 시스템 연계에 관련한 문제등에 대하여 다룬다.

분산전원과 신재생에너지

기존 발전의 패러다임

  •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와 이를 소모하는 수용가,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여 주는 네트웍으로 구성되어 있다.
  • 시스템 전체는 국가적인 규모를 가지는 대규모 네트웍으로서 그리드(grid) 라고 한다.
  • 발전소는 입지 조건 때문에 수요지에서 원거리에 위치하며, 이들은 경제성을 위해 대규모로 건설된다.

최근의 경향

  • 최근에는 수요지 근처에 소규모 발전원이 건설되어 근처의 부하에 공급되는 분산 전원(Distributed Resources, DER) 이 등장하고 있다.
  • 이들은 소규모이지만 열병합 발전등을 통해 효율을 높임으로써 대규모 발전 못지 않은 효율성을 가지며, 천연 가스등을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염도 훨씬 줄어듬에 따라 수요지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임베디드 발전(embedded generation) 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첫 글입니다.
다음 글
댓글
댓글로 소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