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학 유도 장해 및 안정도
Lecture 안정도의 개요 및 분류
Lecture • Views 3271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 year ago

전력시스템에는 다양한 외란이 발생합니다. 안정도란 외란 발생시 전력시스템이 안정하게 계속 운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척도가 됩니다. 안정도는 정태 안정도, 과도 안정도, 동태(동적) 안정도가 있습니다.

Lecture 안정도 향상 대책
Lecture • Views 1887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2 years ago

다음과 같은 안정도 향상 대책이 있습니다. (1) 송전선로의 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2) 전압 변동을 작게 한다. (3) 사고를 신속히 차단한다.

Problem 안정도의 종류
Multiple Choice • Views 2862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전력 계통에서 안정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Problem 안정도의 종류
Multiple Choice • Views 3268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전력 계통의 안정도는 외란(disturbance)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송전 선로에서의 고장, 발전기 탈락과 같은 큰 외란에 대한 전력 계통의 동기 운전 가능 여부로 판정되는 안정도는?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3029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송전선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맞는 것은?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2981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다음 중 송전 계통의 안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3110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송전 계통에서의 안정도 증진과 관계없는 것은?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2761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2745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전력 계통의 안정도 향상 방법이 아닌 것은?

Problem 안정도 향상 방법
Multiple Choice • Views 2862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송전 선로의 안정도 향상 대책이 아닌 것은?

Problem 과도 안정도 향상 대책
Multiple Choice • Views 2695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전력 계통의 과도 안정도 향상 대책과 관련 없는 것은?

Problem 정상 상태 안정 극한 송전 전력
Multiple Choice • Views 2794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송전 선로의 정상 상태 극한(최대) 송전 전력은 선로 리액턴스와 대략 어떤 관계가 성립하는가?

Problem 정상 상태 안정 극한 송전 전력
Multiple Choice • Views 2769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발전기의 정태 안정 극한 전력이란?

Problem 과도 안정 극한 전력
Multiple Choice • Views 3136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과도 안정 극한 전력이란?

Problem 차단기 고속도 재폐로의 목적
Multiple Choice • Views 2824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차단기의 고속도 재폐로의 목적은?

Problem 중간 조상 방식
Multiple Choice • Views 3069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중간 조상 방식(intermediate phase modifying system)이란?

Problem 단위 관성 정수
Multiple Choice • Views 3116 • Comments 0 • Last Updated at 11 months ago

과도 안정도 해석에서 회전체의 관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단위 관성 정수는? 단, I 는 관성 모멘트, w는 회전체의 각속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