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기용 변성기는 고압 대전류를 저압 저전류로 변환하여 보호 계전기에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계기용 변성기의 종류: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 계기용 변성기, 영상 변류기,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변성기의 정격 부담을 표시하는 단위는?
변류기 개방시 2차측을 단락하는 이유는?
변전소에서 비접지 선로의 접지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에 영상 전류를 공급하는 계기용 변성기는?
66[kV] 비접지 송전 계통에서 영상 전압을 얻기 위하여 변압기가 66,000/110[V]인 PT 3개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다. 66[kV] 선로측에서 1선 지락 고장 시 PT 2차측 개방단에 나타나는 전압[V]은?
다음 그림과 같이 200/5 CT 1차측에 150[A]의 3상 평행 전류가 흐를 때 전류계 A₃ 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다음 그림에서 계기 X 가 지시하는 것은?
영상 전류를 검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3상으로 표준 전압 3[kV], 600[kW]를 역률 0.85로 수전하는 공장의 수전 회로에 시설할 계기용 변류기의 변류비의 적당한 것은? 단, 변류기의 2차 전류는 5[A]임.
영상 변류기를 사용하는 계전기는?
6.6[kV] 고압 배전 선로(비접지 선로)에서 지락 보호를 위하여 특별히 필요하지 않은 것은?
아래 그림과 같이 6,300/210[V]인 단상 변압기 3대를 Δ - Δ 결선하여 수전단 전압이 6,000[V]인 배전선로에 접속하였다. 이 중 2대의 변압기는 감극성이고, CA상에 연결된 변압기 1대가 가극성이었다고 한다. 이때 아래 그림과 같이 접속된 전압계에는 몇 [V]의 전압이 유기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