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유도기의 원리와 구조
- 원리와 구조
유도기 개요
유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
∙ 구조가 간단하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 가격이 저렴하다.
∙ 사용이 간단하고 운전이 쉽다.
∙ 정속도 전동기이며 부하변동 시 속도변동률이 작다.
∙ 3상 및 단상전원의 사용이 용이하다.
아라고의 원판
위 그림에서 원판 위에는 N극 자석이 원판 아래에는 S극 자석이 원판의 회전반경과 같은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자석(N극과 S극)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원판은 자석이 멈춰있고 자신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다.
이 상황에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을 적용하면 자속은 위에서 아래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면 전압은 원판 중심에서 뻣어나가는 방향으로 그림과 같은 경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은 원판에 전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흘러가게 만든다.
이와같이 a지점에 전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고 자속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과 같이 힘이 반시계방향으로 발생하고 이 힘이 원판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든다. 즉, 원판이 자석의 움직임을 뒤쫓아 가는 것과 같다.
b지점에는 전류(오른쪽에서 왼쪽으로)으로 흘러가는데 자속은 지나가서 b지점을 관통하는 자속은 없으므로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도 전동기의 구조
[출처 : 위키피디아]
- 유도발전기의 단면도
번호 | 명칭 | 번호 | 명칭 |
---|---|---|---|
① | 고정자 철심 | ⑥ | 브라켓 |
② | 회전자 철심 | ⑦ | 팬 |
③ | 프레임 | ⑧ | 베어링 |
④ | 고정자 권선 | ⑨ | 샤프트 |
⑤ | 엔드 링 | ⑩ | 단자박스 |
고정자
- 철심은 0.35~0.5[mm]의 규소강판을 성층하여 사용한다.
- 동기전동기의 고정자와 동일하다.
- 고정자 철심과 전기자 권선으로 이뤄진다.
회전자
농형 회전자(squirrel-cage rotor)
도체봉을 넣고 단락환(shorting ring)으로 연결된다.
구조가 간단하며, 튼튼하다.
중, 소형 유도 전동기에 사용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권선형 회전자(wound rotor)
3상 Y결선하고 슬립링에 연결한다.
대형 유도 전동기에 적합하다.
2차 회로에 저항을 삽입할 수 있어서 기동토크가 큰 특성을 가진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로그인 하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