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선풍기용 전동기의 속도 조정은?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저항 제어법의 장점은?
공급 전원에 이상이 없는 3상 농형 유도 전동기가 기동이 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3상 유도 전동기의 전원 주파수를 변화하여 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전동기의 출력P와 주파수 f와의 관계는?
3상 유도 전동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
유도 전동기의 제동 방법 중 슬립의 범위를 1~2 사이로 하여 3선 중 2선의 접속을 바꾸어 제동하는 방법은?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중 저항 제어와 무관한 것은?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이 아닌 것은?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식으로 잘못 나타내진 것은?
다음 중 농형 유도 전동기에 주로 사용되는 속도 제어법은?
유도 전동기와 분권 정류자 전동기를 직결하여 유도 전동기의 2차 전력을 SM에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해서 주전동기에 공급하여 정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속도 제어 방식은 무슨 방식인가?
회전자 전압 변화에 의한 속도 제어 중 크레머 방식과 세르비우스 방식이 다른 점은?
유도 전동기와 직결된 전기 동력계(다이나모메터)의 부하 전류를 증가하면 유도 전동기의 속도는?
3상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를 위해서 2차 여자법을 사용하고자 할 때 그 방법은?
다음 그림의 sE_2는 권선형 3상 유도 전동기의 2차 유기 전압이고 E_c는 2차 여자법에 의한 속도 제어를 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회전자 슬립에 가한 슬립 주파수의 전압이다. 여기서 E_c의 작용 중 옳은 것은?
일정 토크 부하에 알맞은 유도 전동기의 주파수 제어에 의한 속도 제어 방법을 사용할 때 공급 전압과 주파수는 어떤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60[Hz]인 3상 8극 및 2극의 유도 전동기를 차동 종속으로 접속하여 운전할 때의 무부하 속도[rpm]는?
권선형 유도 전동기 2대를 직렬 종속으로 운전하는 경우 그 동기 속도는 어떤 전동기의 속도와 같은가?
극수 p_1, p_2의 두 3상 유도 전동기를 종속 접속하였을 때 이 전동기의 동기 속도는 어떻게 되는가? 단, 전원 주파수는 f_1[Hz]이고 직렬 종속이다.
선박의 전기추진용 전동기의 속도 제어에 가장 알맞은 것은?
인견 공업에 쓰여지는 포트 모터의 속도 제어는?
반도체 사이리스터에 의한 속도 제어에서 제어되지 않는 것은?
다음 ( )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골라 순서대로 쓰시오 “인견용 포트 모터 운전의 ( )에는 유도 주파수 변환기가 사용된다. 이 경우 50[Hz]로부터 160[Hz]를 얻으려면 8극으로 하고 회전자를 회전 자계와 ( )로 ( )[rpm]으로 회전하면 된다.”
반도체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전압 위상 제어로 그 평균값을 제어하여 속도 제어를 하며,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는 것은?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에서 역률이 높은 순서로 써 보면 다음과 같다. 옳은 것은? A : 1차 전압 제어, B : 2차 저항 제어, C : 극수 변화, D : 주파수 제어법
유도기를 전기적으로 제동하는 방법을 적은 것이다. 원리적으로 회전체의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여 제동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유도 전동기의 동작 특성에서 제동기로 쓰이는 슬립의 영역은?
유도 전동기의 슬립(slip) s의 범위는?
유도 전동기의 1 차 전압 변화에 의한 속도 제어에서 SCR을 사용하는 경우 변화시키는 것은?